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 4 신경망 학습

업데이트:

Chapter 4. 신경망 학습

  • 학습
    • 훈련 데이터에서 가중치 매개변수 최적값을 자동으로 획득하는 것
    • 학습을 위해서는 어떻게 가중치를 조절해야하는지 알아야 함
    • 이 때 사용하는 지표가 손실 함수

4.1 데이터에서 학습한다!

  • 신경망의 특징은 데이터를 보고 학습할 수 있다는 점
    • 가중치 매개변수의 값을 데이터를 보고 자동으로 결정한다
    • 실제 신경망은 매개변수가 수천, 수만개이기 때문에 하나씩 결정해 주는 것은 매우 불가능

4.1.1 데이터 주도 학습

  • 데이터에서 답을 찾고, 패턴을 발견하고 이야기를 만드는 작업 -> 기계학습
  • 데이터가 없으면 기계학습을 수행할 수 없음
  • 어떠한 문제를 풀 때 사람이 가설을 세우고 패턴을 찾아내고 하는 일반적인 문제 해결방법과 달리 기계학습은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수집한 데이터에서 패턴을 찾으려 시도
    • 신경망과 딥러닝은 기존 기계학습보다 더 사람의 개입을 배제함
  • 예를 들어, 손글씨 숫자 5를 구별하는 알고리즘을 설계한다.
    • 사람이라면 쉽게 인식하지만, 숨은 규칙성을 발견해서 로직으로 만들어 내기는 매우 어려움
    • 이미지에서 특징 (feature)을 추출하고 특징의 패턴을 기계학습 기술로 학습하는 방법
    • 하지만, 학습에 사용할 특징을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하는가에 대하여는 여전히 ‘사람’이 개입해야하는 여지가 있음
    • 딥러닝 등의 심층 기계학습 기법은 특징을 고르는 방법 자체도 사람이 아닌 학습 방법에서 추출, 선정
  • 일반 알고리즘
    • 사람이 생각한 알고리즘 -> 결과
  • 일반적인 기계학습
    • 사람이 생각한 특징 -> 기계학습 -> 결과
  • 딥러닝 (종단간 기계학습,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사람의 개입이 없음)
    • 신경망 (딥러닝 알고리즘) -> 결과
  • 신경망의 장점은 어떤 문제든지 관계 없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 있음

4.1.2 훈련 데이터와 시험 데이터

  • 기계학습 문제는 데이터를 훈련 데이터 (training data)와 시험 데이터 (test data)로 나누어서 학습과 실험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
  • 훈련 데이터로 최적의 매개변수를 찾아낸 뒤, 실험 데이터의 답을 찾아내는 모델
    • 범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나누어서 평가해야함
    • 범용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훈련데이터와 시험데이터를 분리하는 것
      • 범용능력: 아직 보지 못한 데이터를 올바르게 풀어내는 능력
  • 특정 데이터 셋에 편중되어 학습을 수행하면 해당 데이터 셋에 대한 답은 정확하게 맞출 수 있어도, 다른 데이터 셋은 정확하게 맞추지 못하는 오버피팅(overfitting)문제가 발생 할 수 있음

4.2 손실 함수

  • 신경망 학습에서는 현재의 상태를 ‘하나의 지표’로 표현
    • 그리고 이 지표를 가장 좋게 만들어주는 가중치 매개변수의 값을 탐색하는 것
  • 신경망에서 사용하는 지표는 손실 함수 (loss function)이라고 정의
    • 얼마나 성능이 나쁜가에 대한 정도를 나타냄
    • 일반적으로 평균 제곰 오차와 교차 엔트로피 오차를 사용

4.2.1 평균 제곱 오차

  • 가장 많이 쓰이는 손실 함수
  • \(E = {1 \over 2}\sum(y_k-t_k)^2\) 으로 표현한다.
    • yk는 출력 값, tk는 정답 레이블 값 k는 데이터의 차원 수
>>> y = [0.1, 0.05, 0.6, 0.0, 0.05, 0.1, 0, 0.1 ...]
>>> t = [0, 0, 1, 0, 0, ...]
  • 위의 경우, y 값은 소프트 맥스 함수를 통해서 출력한 각 값의 확률이라고 할 때, 정답은 t의 레이블 값이 1인 t[2]라고 하자.
    • (FYI) 한 원소만 1(정답)로 하고 그렇지 않은 값들은 0(오답)으로 나타내는 표기법을 원-핫 인코딩 이라고 한다.
  • 이 경우 제곱 오차 값은
    • \({(0.1-0)^2 + (0.05-0)^2 + (0.6 - 1)^2 ...} \over 2\) 으로 나타낼 수 있다.
def mean_squared_error(y, t):
  return 0.5 * np.sum((y-t)**2)
  • 오답으로 예상한 모델은 값이 높을 것이고, 정답에 높은 확률을 설정한 모델은 값이 낮을 것이다.

4.2.2 교차 엔트로피 오차

  • Cross Entropy Error (CEE)
  • \(E = - \sum {t_klog {y_k}}\) 으로 표현
    • log는 자연 로그
    • 정답에만 해당하는 인덱스를 1로 표현하고 나머지는 0으로 인코딩하는 원-핫 인코딩 사용
    • 실질적으로는 정답일 때의 추정의 자연로그를 계산하는 식이 된다. (tk가 1일 때의 yk)
  • 예를 들어, 정답 레이블 ‘2’의 출력이 0.6이라면,
    • 오차는 \(-log0.6 = 0.51\)이 된다.
  • 출력이 0.1 이라면
    • \(-log0.1= 2.30\) 으로 정답일 떄의 출력이 전체 값을 정하게 된다.
def cross_entropy_error(y, t):
  delta = 1e-7
  return -np.sum(t * np.log(y + delta))
  • delta를 도입한 이유는 y 값이 0일 때 log 값이 -inf로 표현되기 때문에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 delta를 사용

4.2.3 미니배치 학습

  • 기계학습은 훈련 데이터를 사용해서 학습
    • 훈련 데이터를 사용하여 손실 함수의 값을 최소한으로 만드는 매개변수를 찾는 과정
  • 이를 위해서는 모든 훈련 데이터를 대상으로 손실 함수의 값을 구해야한다.
  • 모든 값에 대하여 손실함수의 합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
    • \[E = {-{1\over N}}\sum_{i=0}^n \sum_{j=0}^k{t_{nk}logy_{nk}}\]
    • 데이터가 N개라면 tnk는 n번째 데이터의 k번째 값을 의미
    • 복잡해 보이지만 데이터 하나에 대한 손실 함수를 N개로 확장한것 뿐
    • 마지막에 N개로 나우어서 평균 손실 함수를 구하는 것.
  • 예제에서 사용하는 MNIST 데이터는 훈련 데이터가 60,000 개임
    • 모든 데이터를 대상으로 손실 함수의 합을 구하려면 시간이 오래걸림
  • 이런 경우 데이터를 일부 추려내서 전체의 ‘근사치’로 이용할 수 있음
  • 신경망에서 일부 데이터로 훈련 데이터를 사용하여 골라 학습하는 것을 미니 배치(mini-batch)라고 정의함
    • 예를 들어, 60,000개의 데이터 중에서 100장을 무작위로 뽑아서 학습하는 것이라고 함
import sys, os

sys.path.append(os.pardir)

import numpy as np
from mnist import load_mnist

(x_train, t_train), (x_test, t_test) = \
	load_mnist(normalize = True, one_hot_label = True)
  
print(x_train.shape) # (60000, 784)
print(t_train.shape) # (60000, 10)

train_size = x_train.shape[0] # 60000
batch-size = 10
batch_mask = np.random.choice(train_size, batch_size) # randomly select indecies from 0-59999
x_batch = x_train[batch_mask]
t_train = t_train[batch_mask]

'''
>>> np.random.choice(60000, 10)
array([8013, 14666, 58210, 10, 33333 ...])
'''

4.2.4 (배치용) 교차 엔트로피 오차 구현하기

def cross_entropy_error(y, t):
  if y.ndim == 1: # if dimension of y is 1
    t = t.reshape(1, t_size)
    y = y.reshape(1, y_size)
    
  batch_size = y.shape[0]
  return -np.sum(t * np.log(y + 1e - 7))
  • 만약 위와 같이 데이터가 원-핫 인코딩으로 정답만 1인 경우가 아니라면,
def cross_entropy_error(y, t):
  if y.ndim == 1: # if dimension of y is 1
    t = t.reshape(1, t_size)
    y = y.reshape(1, y_size)
    
  batch_size = y.shape[0]
  return -np.sum(t * np.log(y[np.arange(batch-size), t] + 1e - 7))
  • 원-핫 인코딩 일 때 t가 0인 원소는 교차 엔트로피 오차도 0이므로 해당 계산은 무시해도 좋다는 것이 핵심
  • np.arrange(batch_size) method는 0부터 batch_size - 1 까지 배열 생성

4.2.5 왜 손실 함수를 설정하는가?

  • 왜 정확도라는 실제 정답을 두고 손실함수를 사용해야 하는 것일까?
    • 신경망 학습에서의 ‘미분’의 역할에 주목하면 된다.
    • 최적의 매개변수를 탐색할 때 손실함수의 값을 가능한 작게 하는 값을 찾는다.
    • 이 때 매개 변수의 미분을 계산하고 그 미분 값을 단서로 매개변수를 서서히 갱신하는 과정을 반복
  • 손실 함수의 미분이란
    • 가중치 매개변수의 값을 아주 조금 변화시켰을 때 손실 함수가 어떻게 변하는가
    • 음수라면 가중치 매개변수를 양의 방향으로 변화시켜 값을 줄일 수 있다.
    • 반대로 양수라면 매개변수 방향을 음의 방향으로 변화한다.
    • 미분 값이 0이라면 어느쪽으로도 움직이지 않는다.
  • 정확도를 사용하기 어려운 이유는 이 미분값이 0으로 되어 양의 방향이나 음의 방향 모두 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
  • 예를 들어, 정확도가 32%인 모델이 있는 경우,
    • 조금 매개변수를 조정해도 32%가 나올 확률이 높다. 이 경우에는 미분을 하여도 증분이 0이기 때문에 학습을 수행하기 매우 어렵다.
  • 이와는 다르게 손실함수의 값을 삼는 경우
    • 값이 0.9253… -> 0.9343… 식으로 변하기 때문에 값을 구하기 쉽다.

4.3 수치 미분

  • 경사법 = 기울기 (경사) 값을 기준으로 나아갈 방향을 정함

4.3.1 미분

  • 미분 = ‘특정 순간’의 변화량 (한 순간의 변화량)
  • \[{df(x)\over dx}=\lim_{h \to 0} {f(x+h)-f(x) \over h}\]
    • 함수의 미분
    • 시간의 작은 변화, 즉 시간을 뜻하는 h를 한없이 0에 가깝게 수행
  • 이제 수치 미분 numerical differentiation 함수인 numerical_diff 메소드를 구현해보자
def numerical_diff(f, x):
  h = 1e-4 # 0.0001
  return (f(x+h) - f(x-h)) / (2 * h)
  • 왜 f(x+h) 와 f(x-h)의 차이를 사용해야 할까?

numerical_diff

  • 위의 그림과 같이 수치 미분에는 오차가 포함됨
  •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x+h)와 (x-h) 일 때의 함수 f의 차분을 계산하는 방법을 쓰기도 함
  • x를 중심으로 전후의 차분을 사용한다는 의미에서 중심 차분 혹은 중앙 차분이라고 함

4.3.2 수치 미분의 예

  • 예를 들어, \(y=0.01x^2+0.1x\) 라는 식이 있다고 하자.
  • 실제 미분 식은 \({df(x) \over dx} = 0.02x + 0.01\) 이다.
    • x가 5, 10일 때의 값은 0.2, 0.3 이 된다.
  • 위의 수치 미분의 값에 의해서 계산된 x가 5, 10일 때의 값은 각각 0.1999999999… , 0.29999999… 이므로 거의 실제 해석미분 (식을 전개하여 얻은 미분 값)과 근사하다.

4.3.3 편미분

  • \(f(x_0, x_1) = x_0^2 + x_1^2\) 와 같이 변수가 2개 이상인 식에 대하여 특정 변수를 기준으로 미분을 수행하는 것을 편미분이라고 한다.
  • 예를 들어 x0 에 대하여 편미분을 수행할 때, x0=3, x1=4 일때, x0 에 대한 편미분 값은
    • \(f(x_0) = x_0*x_0 + 4.0*2, {df(x_0) \over dx} = 2 * x_0, {df(3) \over dx} = 2 * 3 = 6\) 으로 편미분을 수행할 수 있으며,
    • 위의 수식에 대하여는 6.000000..378 으로 거의 근사한 값을 얻을 수 있다.

4.4 기울기

  • 위의 4.3.3 절에서 편미분을 각 변수에 대하여는 쉽게 구할 수 있었다.
  • 그렇다면 편미분을 동시에 하고 싶다면?
    • 이 경우 모든 변수의 편미분을 벡터로 정리한 것을 기울기 (gradient)라고 정의
  • 기울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ef numerical_gradient(f, x):
  h = 1e-4 # 0.0001
  grad = np.zeros_like(x) # generate simlar shape on array x, but 0 values
  
  for idx in range(x.size):
    tmp_val = x[idx]
    x[idx] = tmp_val + h
    fxh1 = f(x)
    
    x[idx] = tmp_val-h
    fxh2 = f(x)
    
    grad[idx] = (fxh1 - fxh2) / (2 * h)
    x[idx] = tmp_val
  
  return grad
  • 위의 수치 미분과 동일하게 매우 작은 차분을 계산하여 배열로 돌려주도록 구현
  • 기울기는 가장 낮은 장소를 포인팅하도록 값이 계산된다.
    • 정학하게는 각 장소에서 함수의 출력 값을 가장 크게 줄이는 방향

4.4.1 경사법 (경사 하강법)

  • 신경망에서는 매개변수의 범위가 (일반적으로) 광대함
    • 최적의 값을 찾기가 어려움
    • 이런 상황에서 기울기를 이용해서 오차가 최소인 지점을 찾아가는 방법
  • 기울기를 사용해서 최솟값을 찾기 때문에 기울기가 가리키는 곳으로 이동 했을 때 정말로 최솟값이 있는지는 보장할 수 없음
  • 경사법은 현 지점에서 기울어진 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이동한다.
    • 그런 다음 이동한 곳에서 마찬가지로 기울기를 구하고 기울어진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반복
  • 경사법을 수식으로 나타내보자
    • \[x_0 = x_0 - \eta{\partial f \over \partial x_0}\]
    • \[x_1 = x_1 - \eta{\partial f \over \partial x_1}\]
    • eta 값은 갱신하는 양을 나타낸다. 이를 신경망 학습에서는 학습률으로 표현
      • 한번에 얼마만큼 학습을 해야할지 정하는 값
    • 이 식을 여러번 반복하면서 함수의 값을 서서히 줄여나가는 것
  • 학습률의 값은 일정 값으로 0.01, 0.001 등으로 미리 정해야함
    • 이 값이 너무 크거나 작으면 ‘좋은 장소’를 찾을 수 없음
def gradient_descent(f, init_x, lr = 0.01, step_num = 100):
  # f: function to optimize, init_x: initial value
  # lr: learning rate, step_num: how many times to iterate
  x = init_x
  for i in range(step_num):
    grad = numerial_gradient(f, x)
    x -= lr * grad
  
  return x
  • 학습률과 같은 매개변수를 하이퍼파라미터라고 한다.
    • 가중치와 편향 같은 신경망의 매개변수와는 성질이 다른 매개변수 (훈련 데이터와 학습 알고리즘에 의해서 자동으로 획득)
    • 하이퍼파라미터는 사람이 직접 매개변수를 설정해야함

4.4.2 신경망에서의 기울기

  • 여기서의 기울기는 가중치 매개변수에 대한 손실 함수의 기울기
import sys, os
sys.path.append(os.pardir)
import numpy as np

class simpleNet:
  def __init__(self):
    self.W = np.random.randn(2, 3) # init with normal distribution
    
  def predict(self, x):
    return np.dot(x, self.W)
  
  def loss(self, x, t):
    z = self.predict(x)
    y = softmax(z)
    loss = cross_entropy_error(y, t)
    
    return loss
  • 이전에 정의한 소프트맥스 활성화 함수와 cross_entropy_error 함수를 사용하자

4.5 학습 알고리즘 구현하기

  • 신경망 학습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 전체: 신경망에는 적응 가능한 가중치와 편향이 있고, 이를 훈련데이터로 조정하는 과정이 학습
    • 1단계: 미니 배치 (훈련 데이터 일부를 가져오기)
    • 2단계: 기울기 산출 (손실 함수의 값을 줄이기 위해서 기울기를 구함)
    • 3단계: 매개변수 갱신 (가중치 방향으로 아주 조금 갱신)
    • 4단계: 1~3단계를 반복한다.
  • 경사 하강법으로 매개변수를 갱신하는 방법으로 미니배치를 통해서 무작위로 데이터를 가져오기 때문에 확률적 경사 하강법 (stochastic gradient descent, SGD)라고 부른다

4.5.1 2층 신경망 클래스 구현하기

import sys, os
sys.path.append(os.pardir)
import numpy as np

class TwoLayerNet:
  def __init__(self, input_size, hidden_size, output_size, weight_init_std = 0.01):
    self.params = {}
    self.params['W1'] = 
      weight_init_std * np.random.randn(input_size, hidden_size)
    self.params['b1'] = np.zeros(hidden_size)
    self.params['W2'] = 
      weight_init_std * np.random.randn(input_size, output_size)
    self.params['b2'] = np.zeros(output_size)
    
  def predict(self, x):
    W1, W2 = self.params['W1'], self.params['W2']
    b1, b2 = self.params['b1'], self.params['b2']
    
    a1 = np.dot(x, W1) + b1
    z1 = sigmoid(a1)
    a2 = np.dot(z1, W2) + b2
    y = softmax(a2)
    
    return y
  
  def loss(self, x, t):
    y = self.predict(x)
    
    return cross_entropy_error(y, t)
  
  def accuracy(self, x, t):
    y = self.predict(x)
    y = np.argmax(y, axis = 1)
    t = np.argmax(t, axis = 1)
    
    accuracy = np.sum(y == t) / float(x.shape[0])
   	return accuracy
  
  def numerical_gradient(self, x, t):
    loss_W = lambda W: self.loss(x, t)
    
    grads = {}
    grads['W1'] = numerical_gradient(loss_W, self.parmas['W1'])
    grads['b1'] = numerical_gradient(loss_W, self.parmas['b1'])
    grads['W2'] = numerical_gradient(loss_W, self.parmas['W2'])
    grads['b2'] = numerical_gradient(loss_W, self.parmas['b2'])
    
    return grads

4.5.2 미니배치 학습 구현하기

import numpy as np
from mnist import load_mnist

(x_train, t_train), (x_test, t_test) = \
  load_mnist(normalize=True, one_hot_label = True)
  
train_loss_list = []

iters_num = 10000
train_size = x_train.sahpe[0]
batch-size = 100
learning_rate = 0.1

network = TwoLayerNetwork(input_size = 784, hidden_size = 50, output_size = 10)

for i in range(iters_num):
  batch_mask = np.random.choice(train_size, batch_size)
  x_batch = x_train[batch_mask]
  t_batch = t_train[batch_mask]
  
  grad = network.numerical_gradient(x_batch, t_batch)
  
  for key in ('W1', 'b1', 'W2', 'b2'):
    network.parmas[key] -= learning_rate * grad[key]
    
  loss = network.loss(x_batch, t_batch)
  train_loss_list.append(loss)
  • 학습 횟수가 늘어나면서 오차가 점점 수렴해 갈 것이다.

4.5.3 시험 데이터로 평가하기

  • 손실 함수의 값이 점점 작아지는 것은 확인할 수 있지만, 다른 데이터에서도 동일한 성능을 내는지는 아직 확인하지 못했다.
  • 훈련 데이터 외의 데이터를 올바르게 인식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 오버 피팅의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해야함
import numpy as np
from mnist import load_mnist

(x_train, t_train), (x_test, t_test) = \
  load_mnist(normalize=True, one_hot_label = True)
  
train_loss_list = []
train_acc_list = []
test_acc_list = []

iter_per_epoch = max(train_size / batch_size, 1)

iters_num = 10000
train_size = x_train.sahpe[0]
batch-size = 100
learning_rate = 0.1

network = TwoLayerNetwork(input_size = 784, hidden_size = 50, output_size = 10)

for i in range(iters_num):
  batch_mask = np.random.choice(train_size, batch_size)
  x_batch = x_train[batch_mask]
  t_batch = t_train[batch_mask]
  
  grad = network.numerical_gradient(x_batch, t_batch)
  
  for key in ('W1', 'b1', 'W2', 'b2'):
    network.parmas[key] -= learning_rate * grad[key]
    
  loss = network.loss(x_batch, t_batch)
  train_loss_list.append(loss)
  
  if i % iter_per_epoch == 0:
    train_acc = network.accuracy(x_train, t_train)
    test_acc = network.accuracy(x_test, t_test)
    train_acc_list.append(train_acc)
    test_acc_list.append(test_acc)
    print("teain acc, test acc | " + str(train_acc) + ", " + str(test_acc))

태그: , ,

카테고리:

업데이트:

댓글남기기